공부 기록/개념정리

네트워크 (Network)

코딩걈자 2024. 3. 6. 02:51
반응형
컴퓨터들끼리 서로 연결이 돼서 통신하는 것

 

  • 컴퓨터끼리 연결된 후 0,1 신호를 보내며 소통함
  • 연결이 완료된 후에 요청을 보내면 OS가 해석
  • 클라이언트: 요청을 하는 주체 ex) 브라우저
  • 서버 : 요청을 받아 정보를 주는 주체 ex) 서버

 

1) 물리적 관점의 네트워크

  • 랜선, 랜카드

- 랜카드: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 간의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장비, 랜카드를 설치하면 랜선이 꽂히는 포트가 생김

- 랜선의 경우 광케이블이란걸 사용하게 되는데, 이 광케이블은 0,1이라는 컴퓨터용 신호를 빛으로 변환해서 전송하게 됩니다. 그리고 다시 그 빛이 0,1이라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

  • 무선WIFI

-  무선랜카드 : 해당 기기가 있는 곳 주변의 일정 영역에서 랜선 없이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

- 유선 인터넷 연결 정보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파를 쏘는 방식, 수신하는 랜카드에서 그 신호를 다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

2) IP & DNS

  • IP(Internet Protocol)

-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 ( 컴퓨터 자체 주소가 아닌 연결된 네트워크 주소 ) ex)192.168.0.1

- 인터넷이 통하는 네트워크에서 어떤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통신에 대한 규약

- IPv4(32bit), IPv6(128bit)

  • DNS(Domain Name System)

- 이름과 숫자 간의 매핑을 관리 => url을 IP로 변경해 주며 연결을 도와주는 역할

- 구성 요소: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, 네임 서버, 리졸버

- 기관에게 도메인을 생성하거나 IP주소로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구조(계층구조)를 가짐

출처: https://academy.bit2me.com/en/what-is-dns-server/

3) 프로토콜

  •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, 규칙의 집합 = 통신을 위한 규격
  • HTTP(s) : 브라우저에서 웹에서 접근할 때 지키는 규격
  • SSH: 네트워크 상 다른 컴퓨터를 원격 사용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
  • TCP/IP: Transimission Control Protocol / Internet Protocol ,  전 세계를 통해 가장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 세트 중 하나

4) 포트

  • 운영체제 통신의 종단점 ex) 포트번호 : 80
  • IP를 통해 어느 컴퓨터인지 파악하고 포트번호를 통해 내부에 어떤 프로그램으로 갈지 결정 => 요청한 포트가 열려있어야 연결 가능

5) 방화벽

  • 특정 규칙에 따라 네트워크를 제한하는 시스템 = 원치 않는 트래픽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보안 솔루션

출처:https://www.cloudflare.com/ko-kr/learning/security/what-is-a-firewall/

6) OSI 7계층

  •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논리적인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

각 단계별 자세한 내용은 따로 정리


클래스101 강의를 참고하여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. => 관련 게시물 : https://sonjieun26.tistory.com/38

<참고 출처>

강의 : https://class101.page.link/yNrA

'공부 기록 >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프론트엔드 & 백엔드  (2) 2024.03.08
프로그래밍 언어와 라이브러리  (0) 2024.03.07
하드웨어 & OS  (0) 2024.03.03
Markdown(마크다운)  (0) 2024.03.03
JSON(JavaScript Object Notation)  (0) 2024.03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