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TIL (Today I Learned)
2022.04.24
오늘 읽은 범위
2장. 의미있는 이름
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
- 따로 주석이 필요하다면 의도를 분명히 드러내지 못했다는 말이다.(p22)
- 프로그래머는 코드에 그릇된 단서를 남겨서는 안 된다.(p.24)
- 전문가 프로그래머는 자신의 능력을 좋은 방향으로 사용해 남들이 이해하는 코드를 내놓는다.(p.32)
- 그 외 의미있는 이름을 만드는 방식들,,,
오늘의 소감
- 그동안 코드를 짤 때 나도모르게 조금 더 짧고 타자치기 쉬운 이름들을 붙여서 나중에 그 변수나 함수를 사용할 때 코드를 위로 올려 찾아보던 경험이 떠올랐다. 작은 규모고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과제 형식의 코드라 그렇다는 핑계로 하던 방식이 습관이 되어 지금까지 의미있는 이름을 짜는 것이 어려워 진 것을 느끼며 1장의 '나중은 없다'라는 말을 깨닫게 되었고, 점점 좋은 코드와 의미 있는 이름에 시간을 들이는 것을 중요시하며 개발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.
🔔추가적으로 공부한 내용
- 불용어 (noise word) : 분석에 큰 의미가 없는 단어
- 인코딩 :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나 기호들을 컴퓨터가 이용할 수 있는 신호로 만드는 것
- 구체 클래스 (concrete class) : 구상 클래스/ 구현 클래스 라고도 부르며 모든 연산에 대한 구현을 가지고 있는 클래스를 뜻한다, 추상 클래스가 아닌 클래스
'내가 읽은 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노개북_클린코드] 9장. 단위 테스트 (0) | 2022.05.07 |
---|---|
[노개북_클린코드] 6장. 객체와 자료구조 (0) | 2022.05.03 |
[노개북_클린코드] 4장.주석 (0) | 2022.04.29 |
[노개북_클린코드] 1장.깨끗한 코드 (0) | 2022.04.23 |